연구원 오리의 투자 일지

돈은 벌고 싶지만 돈 잃기 싫은 20대 연구원의 월급 관리 현황 - "내가 버는 돈에 휩쓸리지 말자" 본문

투자 일지

돈은 벌고 싶지만 돈 잃기 싫은 20대 연구원의 월급 관리 현황 - "내가 버는 돈에 휩쓸리지 말자"

헤엄치는 오리 2023. 5. 28. 10:32

 

"12억원 만큼의 효과가 있는 나의 월급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을까?"

 

 

1.

나는 부자다. 매달 300만원씩 따박따박 통장에 돈이 꽂힌다. 12억원을 은행에 예치해야 받는 이자랑 똑같다.

.

.

.

이렇게 눈물을 머금고 스스로를 위로한다. ㅎㅎ

꾸준한 현금을 창출하는 내 월급은 매우 중요한 자산이며, 재테크 자본이 나오는 곳이기도 하다.

입사한지 3개월 차, 이사하고 집 정리하느라 쓴 큰 돈이 얼추 정리되자 내 월급이 어디로 빠져나가는지 파악이 필요한 상태다. 어림짐작 주된 소비가 어디인지 알고 있지만 나의 소비습관은 확인할 필요가 있어 이번 시간에는 월급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포스팅하고자 한다.

 

 

 

2.

세전 연봉 : 약 5,500만원

월 평균 실수령액 : 약 330만원

적지 않은 금액이다. 회사 내 미흡한 내 자신을 생각하면 이 정도 액수를 받아도 되나 싶다. 하지만 그간 고생한 내 과거를 청산한다는 생각과 앞으로 내 몫은 해야지라는 목표로 감사히 받고 있다.

막상 적으려고 하니 민망함이 앞서지만, 미래의 내가 과거의 나를 보고 고칠 점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끄적여 본다.

월 평균 고정비

  • 저축 : 2,400,000원
  • 곗돈 : 50,000원
  • 교통비 : 30,000원
  • 통신비 : 24,000원
  • 전세 관리비 : 70,000원
  • 넷플릭스 : 9,000원
  • 카카오 이모티콘 플러스 : 5,700원
  • 인터넷 비용 : 22,000원

→ 2,610,700원

 

저축 비중이 상당하다. 월급의 약 73%인 셈인데,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담겨있다. 전세금을 구하기 위해 가족한테 큰 돈을 빌렸던 터라 3년 내 돌려주는 것을 목표로 했기 때문이다. 갚는다는 느낌이 들기보다는 저축한다는 의미가 더 와닿아 저축이라고 적용하였다.

 

돈을 빌리지 않았더라면 달랐을까?

사실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오히려 아쉽다. 통장 쪼개기, 공모주 청약 자본, 청년 통장 등 다방면으로 활용했을 것이다. 입사하기 전까지 풍차 돌리기를 위해 이율 높은 적금도 알아놨는데... 여러모로 아쉽지만 덕분에 전세집을 구해 편안하게 지내고, 매달 나갔을 월세를 포함하여 3년 무이자 대출이라 생각하고 있다.

 

월 평균 변동비

  • 전기세 : 1만 2천원
  • 도시가스비 : 미정
  • 식비 : 38만원
  • 생활비 : 30만원

→ 700,000원

 

사실 식비와 생활비 거의 같이 쓰는 개념이다. 330만원에서 고정지출을 빼고 남는 돈은 약간의 전기비와 도시가스비를 제외하곤 내 식비와 생활비로 쓰인다. 회사에 있다보니 전기랑 가스를 쓸 일이 거의 없다. ㅎㅎ

 

 

마지막 말.

월급 관리한다는 것에 사실 정답은 없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개인마다 편차가 있을 뿐 비슷비슷할 것이라 생각한다. 월급을 관리한다는 건 돈을 어떻게 모으고 쓴다는 목적보다는 나도 모르게 새어나가는 지출을 파악하고, 올바른 금융습관의 시발점이라 생각한다. 즉, 내가 버는 돈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다. 내가 돈의 목줄을 잡고 갖고 놀아야 한다. 월급도 공개했는데 다음 포스팅 땐 내친김에 자산 포트폴리오도 정리해봐야겠다.

 

 

 

 

*해당 글은 네이버 블로그에서 동시 작성하고 있습니다.

 

https://duckduck1378.tistory.com/3

 

20대 연구원이 말하는 월급이란? "월급 300만원은 12억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직업은 새로운 자산이다' 1. 현재 은행 예금 이자가 3~4% 정도하는데 이를 적용하여 12억원을 은행에 예금하면 약 300만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즉, 월 300만원의 소득은 자산 약 12억과 같은 효과

duckduck1378.tistory.com

https://duckduck1378.tistory.com/2

 

20대 연구원이 바라본 재테크 패착의 원인 : 마케팅

"아, xx 파랑불이네" 1. 재테크. 우리가 주식을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씀씀이에 비해 벌어들이는 소득이 시원치 않아 윤택한 생활을 위해, 은퇴 후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 재테크를 한다. 그런데

duckduck1378.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