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오리의 투자 일지

돈은 벌고 싶지만 돈 잃기 싫은 20대 연구원이 Pick한 투자 유망 산업 : 5차 산업 혁명을 이끌 우주 산업 (1) 본문

투자 일지

돈은 벌고 싶지만 돈 잃기 싫은 20대 연구원이 Pick한 투자 유망 산업 : 5차 산업 혁명을 이끌 우주 산업 (1)

헤엄치는 오리 2023. 6. 15. 21:23

"큰 그림이 그려진다"

 

 

1.

인터넷이 발달하기 전, 투자는 정보를 먼저 아는 소수의 사람에게 유리했다.

인터넷이 발달한 현재는 어떨까?

이전과 반대로 매일 쏟아지는 방대한 양의 정보와 데이터가 떠돌아 다닌다.

문제는 많은 정보 가운데 정확한 정보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도 상당하다. 그래서 정확한 정보라 할지라도 의구심을 품게되는 상황이 초래됐다.

 

 

이제는 정보를 골라낼 줄 아는 소수의 사람에게 투자가 유리한 시대다.

큰 그림과 방향성을 정해 놓고 투자 하지 않으면 정보 홍수에 휩쓸리기 쉽다.

특히, 직장인들은 매일 가격 변수 동향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직장인들이 투자를 한다면 더 더욱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혹 생각지 못한 뉴스가 나오더라도 큰 그림을 수정해야 할만한 변수인지를 판단하면 된다.

 

"투자가 유망한 분야라는 것은 뭘까?"

 

2.

성장 잠재력이 높고,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고 해당 산업에 인력들이 대거 유입되어 끊임없이 기술 혁신을 하고, 관련 기업들이 이익을 누릴 수 있게 되는 분야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투자 유망한 분야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최근 한국의 우주 산업은 누리호 3차 시험발사에 성공하면서 전 세계 7번 째로 우주 발사체를 개발한 국가가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우주 관련 스타트업이 증가하고 있는데, 미국 시장 조사 회사인 브라이스테크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우주 스타트 기업에만 투자된 자금이 77억 달러 (약 9조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2021년엔 150억 달러 (약 18조원) 로 2020년 대비 2배에 달하는 자금이 투자되었다.

 

 

단순 시장 지표가 아닌 직접 느끼는 것도 있다.

현재 근무 중인 한화시스템만 봐도 우주사업부에 단 몇 개월동안 100여 명 가까이 인력을 뽑았다. 그리고 계속해서 뽑는 추세다. 이는 우주산업 인력들의 유입이 많다는 의미며 미래 우주 산업의 시장성이 크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3.

과거 우주사업의 경우 정부 주도로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재 세계 부호 1순위를 왔다갔다 거리는 일론 머스크, 제프 베이조스같은 인물들이 대규모 투자에 나서면서 과거와는 다른 기술의 진보를 이루어 내며 민간 주도의 영역으로 바뀌는 추세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 대표적으로 누리호 발사체 개발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참여했다는 점이다.

 

 

1. 세계 부호 1위를 다투는 인물들이 투자하는 우주 산업

2. 우주 산업으로 인력 대거 유입

3. 가파른 투자 자금 증가 추세

이렇게 3가지 키워드를 봤을 때 느끼는 점이 있을까? 바로 투자 유망 분야 의미와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래도 우주산업이 미래 잠재력이 상당한 산업이라는 것이 와 닿지 않는다면 아쉬울 따름이다. 거기다 1 가지 키워드는 남들은 알기 힘든 본인이 직접 느끼고 현재 진행 중인 사실을 알려주었다.

* 해당 글은 네이버에서 동시작성하고 있습니다.